||||

제목 작가되는법, 추천하는 방법! 작성일 25-03-30 06:37
성명 Kitty 회사명
전화번호 - - 휴대폰번호 - -
이메일 aaa@naver.com
주소 ()
홈페이지
답변방법

본문

안녕하세요. 작가되는법 1458music입니다. 오늘은 음악으로 할 수 있는 직업 중 음악 책을 내고 작가가 되는 방법에 대하여 다뤄보겠습니다. ​자 우선~ 1458music은 음악책 전문 출판사로서! 음악을 하시는 작가님들과 많은 작업을 통해 책을 출간해 왔는데요.​음악 책이 어떤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고, 어떻게 하면 작가로 데뷔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. ​​​음악책이 만들어지는 과정사실 모든 책은 다 비슷한 과정을 통해 만들어집니다. ​음악의 경우 레슨을 위한 간단한 교재 등은 저자가 직접 제작을 하기도 하지만, 서점에서 정식으로 유통되는 대부분의 책은 출판사와 출간 계약을 맺고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 ​01_구성안 만들기 책을 쓰려면 당연한 이야기지만 그 분야의 전문성과 노하우가 필요합니다. 작가되는법 같은 내용이라도 더 쉽게 전달할 수 있다던가, 남들은 잘 모르는 나만의 노하우를 담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. ​또한 그 내용을 말이 아닌 글과 악보로 표현해 낼 수 있어야 합니다. 간단한 내용이라도 설명은 할 수 있지만 글로 쓰기는 어렵다면 책을 만들기 어려워집니다. ​또한 예상 독자를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. 독자가 어떤 사람들인지에 따라 표현하는 용어, 내용의 깊이 등 집필 스타일이 완전히 달라집니다. ​1458music의 경우 음악 책의 구성, 즉 기획 부분부터 전문 편집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저자와 의견을 주고받으면서 진행됩니다. ​​02_집필 작업본격적인 글쓰기 단계입니다. 교재의 경우 나에게는 너무 당연하고 쉬운 내용이 독자에게는 생소한 내용일 수 있다는 점을 작가되는법 꼭 기억해야 합니다. ​또한 음악책 특성상 악보가 들어가는 경우가 많아 음악책 저자의 경우 피날레나 시벨리우스 같은 기보 프로그램을 다룰 수 있어야 합니다. (물론 출판사에 따라 편집자가 프로그램 작업을 하는 경우도 있음)​또한 최근의 음악 도서들은 유튜브 강의, 음원 녹음 등 QR코드를 통한 다양한 학습 보조적 장치들을 책에 담아내는 경우가 많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 음악책 집필의 경우 이런 부분까지 생각하여 좀 더 넓은 시각으로 책을 써야 합니다. ​​​03_감수 및 저작권 확인집필이 끝나면 작가와 편집자는 최정 감수 작업에 돌입합니다. 논리적 오류는 없는지부터 오타를 찾는 일은 기본이고 악보가 들어간 경우 저작권 사용 처리를 해야 합니다. ​저작권 작가되는법 관련 업무는 출판사에서 진행하는데 다만 저자도 저작권 처리가 필요한 악보가 무엇인지, 어떤 과정을 통해 처리되는지를 알고 확인해야 합니다. ​​음악책으로 작가 데뷔하는 방법01_블로그 운영음악 서적을 집필하고 싶다면 관련 내용으로 블로그를 운영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. ​자신이 쓰고 싶을 내용을 하나하나 쓰다 보면 글쓰기 실력도 늘고, 훗날 블로그의 내용을 책으로 정리하여 출간할 수도 있습니다. ​또한 운이 좋을 경우 출판사에서 출간 제안을 받기도 합니다. ​​02_유튜브 운영블로그와 더불어 최근에는 유튜브에서 활동하는 분들이 음악책을 많이 출간하고 있습니다. ​1458music의 경우에도 ;의 저자인 박터틀님은 '박터틀의 음악노트'라는 14만 음악 유튜버로 활동하면서 책을 집필했습니다. ​​또한 ;의 전무진 작가님 역시 '말랑기타'유튜브 채널을 작가되는법 운영 중입니다. ​​이렇게 자신만의 음악 콘텐츠를 유튜브에 풀어내다 보면 실제로 많은 출판사에서 출간 제안을 받을 수 있습니다. ​또한 저자가 유튜브나 SNS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경우 책을 출간했을 때 마케팅이나 판매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 ​​03_원고 투고책의 구성, 원고를 이미 작성한 경우라면 출판사에 투고를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 음악 서적을 전문적으로 출판하는 출판사를 알아보고 이메일로 원고를 보냅니다.​이때 투고할 출판사를 선정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, 내가 출간하고자 하는 책과 가장 유사한 책을 찾고 그 책의 서지정보(아래)를 확인하는 것입니다. ​서지정보에서 출판사 정보 확인​홈페이지가 있는 경우 대부분의 출판사는 투고하기라는 탭이 있고, 없을 경우 이메일을 보내면 됩니다. ​투고할 작가되는법 때 꿀팁!!실제로 1458music 공식 메일을 통해서도 정말 많은 예비 작가님들의 투고가 들어오고 있는데요. ​저희 출판사의 경우 투고가 들어오면 신인작가, 기성작가 상관없이 무조건 검토! 그 후에는 수락이던 거절이던 최대한 답변을 드리고 있습니다. (물론 출판사에 따라 회신이 없는 경우도 있음ㅠㅠ) ​출판사에는 투고 원고만 검토하는 담당자가 따로 있는 게 아닙니다. 관련 분야의 편집자가 본인의 기존 업무를 하면서 투고 원고를 검토하게 되죠.​그렇기 때문에 출간 제안서를 원고와 함께 보내주시면 검토에 큰 도움이 됩니다. ​출간 제안서에는 해당 도서의 출간 목적, 주요 독자층, 목차, 내용 요약, 작가 소개 등이 들어갑니다. ​출간 제안서를 작성하실 경우에는 내용을 죽- 나열하기 보다 작가되는법 책이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는 '마케팅 제안서'를 작성한다!라는 마음으로 쓰시면 더욱 좋습니다. ​보통은 출간 제안서를 먼저 보기 때문에, 출간 제안서에 흥미를 느낀다면 원고 역시 긍정적인 마음으로 검토될 수 있으니까요 :)​또한 음악책의 경우 전문 지식을 필요로 하는 책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저자의 이력 또한 중요하게 검토합니다. 전공이나 음악 활동에 대한 이력을 아낌 없이 적어 주세요! ​저자 소개 부분​음악책, 수입이 생기는 구조는?출판사와 계약한 모든 저자는 출판사로부터 인세를 받습니다. ​쉽게 생각하면 음악 저작권료와 비슷한 개념이죠. 보통 실제 판매된 도서 수량 또는 작가의 인지도에 따라 5~10% 정도가 인세로 지급됩니다. ​예를 들어 15,000원짜리 책 1권이 팔리면 10%로 작가되는법 인세를 계약한 경우 1,500원의 수입이 발생되는 거죠. ​물론 악보 위주의 책인 경우 책 한 권당 지불되어야 하는 악보 저작권료가 높아 인세 비율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. ​책 값에 따라 달라지는 인세​인세는 출판사마다 차이가 있지만 보통 3~6개월 주기로 정산되며, 인지도가 높은 작가의 경우 선인세(책 출간 전에 받는 인세)를 지급하기도 합니다. ​위의 내용을 기반으로 책을 낸다면 책이 몇 권 정도 팔려야 얼마의 수입이 생길지 대략 계산해 볼 수 있을 겁니다. ​더 많은 음악으로 먹고사는 직업이 궁금하다면? ;에서 확인하세요!음악으로 먹고살기 개정판 진로 직업#작가되는법 #음악책 #음악책쓰기 #음악책작가되는법 #음악직업소개 #투고하는법 #투고 #음악출판사 #음악책출판사 #음악으로먹고살기 #1458music